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감정은 사라진다 : 괴로운 마음에 집착하지 않는 법

괴로운 감정이 일어나면 마음이 너무 힘들어 질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을 잘 들여다 보고 그 감정에 집착하지 않는 다면 괴로움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다고 해요. 뇌과학과 불교 개념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정과 뇌의 관계

우리의 감정은 뇌에서 발생합니다. 뇌는 수십억 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뉴런들은 서로 전기적 신호와 화학적 신호를 통해 소통합니다. 감정이 발생할 때, 뇌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행복감을 느낄 때는 도파민과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활성화됩니다. 반대로 스트레스나 불안을 느낄 때는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역할

이러한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은 실제로 물질적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즉, 감정은 단순히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화학 물질의 변화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신체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예를 들어 공포를 느낄 때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심장이 빨리 뛰고, 근육이 긴장하는 등의 반응을 유발합니다.

신체의 자연스러운 균형 회복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신체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정에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이나 호르몬도 마찬가지입니다. 감정이 강하게 발생한 후, 신체는 이를 조절하여 다시 평상시 상태로 되돌리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감정을 유발했던 화학 물질들은 서서히 감소하고, 그에 따라 감정도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무상(無常)의 원리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변한다는 무상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감정도 예외가 아닙니다. 기쁨, 슬픔, 분노 등 모든 감정은 시간이 지나면 변하고 사라집니다. 무상한 감정에 집착하면, 우리는 끊임없는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해 고통을 겪게 됩니다. 따라서 감정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苦)와 집착

불교에서는 고통(苦)의 원인을 탐욕과 집착으로 봅니다. 감정에 집착하면, 우리는 특정한 감정을 유지하거나 피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혀 고통을 겪게 됩니다. 예를 들어, 행복을 유지하려는 집착이나 슬픔을 피하려는 집착은 결국 더 큰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집착을 내려놓음으로써 우리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중도(中道)의 실천

불교에서는 극단을 피하고 중도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감정에 대해서도 적용됩니다. 감정을 완전히 무시하거나 억누르는 것도,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감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되, 그것에 휘둘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도의 길입니다.

명상과 마음챙김

불교에서는 명상과 마음챙김을 통해 감정을 관찰하고 다스리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명상을 통해 우리는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고,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마음챙김은 감정에 휘말리지 않고, 그저 감정이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과정을 관찰하게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감정에 대한 집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감정에 집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감정이 일시적이고 변덕스러우며, 우리의 전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되, 그것에 집착하지 않고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불교적인 관점에서 감정에 집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감정이 무상하고, 집착이 고통을 초래하며, 중도를 실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명상과 마음챙김을 통해 감정을 다스리고, 연기법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지나간 감정을 붙잡고 괴로운  감정을 되풀이 하지 말고 현재를 사는 연습을 통해 지금 우리의 작은 행복과 감사에 집중하는 연습을 해야겠습니다.